728x90
반응형
SMALL
흑자(黑字)와 적자(赤字)의 어원은 회계 장부의 기록 방식에서 유래했어요.
1. 흑자(黑字)
• 한자로 검을 “黑” + 글자 “字”
• 회계 장부에서 수익이 많아 이익이 발생하면 검은색(흑색) 잉크로 기록했어요.
• 즉, 돈을 벌어 이익이 난 상태를 뜻함.
2. 적자(赤字)
• 한자로 붉을 “赤” + 글자 “字”
• 손실이 발생하면 붉은색(적색) 잉크로 기록했어요.
• 즉,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 손해를 본 상태를 의미함.
이런 회계 기록 방식은 서양(특히 영국, 미국)에서 먼저 시작되었고, 일본을 거쳐 한국에도 들어왔어요. 현재도 “블랙(흑자)“과 “레드(적자)“라는 표현을 영어에서도 사용해요.
✅ 요약:
• 흑자(黑字, black ink) → 장부에 검은색 잉크로 쓰던 이익
• 적자(赤字, red ink) → 장부에 빨간색 잉크로 쓰던 손실
이런 방식이 계속 사용되면서 지금도 경제 용어로 정착하게 되었어요!
728x90
반응형